윤동주 - 참회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4 08:27
본문
Download : 윤동주 - 참회록.hwp
제4연은 아픈 자기 성찰을 하자는 것이다.
제1연은 암울한 일제 치하에서 망국민(亡國民)으로 무의미하게 생존해 있는 자신이 수치스럽고 욕되다는 것이다. 제1연과는 인과(因果) 관계에 있다아
제3연은 앞으로 반드시 오고야 말 즐거운 날에 나는 또 참회를 하게 될 것이다. 무기력하게 실의에 빠져 있는 자신을 채찍질하고 지향점을 찾자는 것이다.
ꁶ 감상의 길잡이(2)
이 시는 암울한 시대에 욕된 삶을 사는 자신을 성찰하고 참회하는 작품으로 …(省略)
윤동주 - 참회록 , 윤동주 - 참회록감상서평레포트 ,
윤동주 - 참회록
Download : 윤동주 - 참회록.hwp( 19 )




레포트/감상서평
윤동주 - 참회록
,감상서평,레포트
설명
다. ‘손바닥으로 발바닥으로 닦아 보자’는 온몸으로 가능한 한 열심히 성찰하자는 것을 제유법(提喩法)을 써서 표현한 것이다.
순서
이 시는 일제 치하에서 자신의 비참하고도 값없는 삶을 부끄러워하고, 어떤 삶을 살아갈 것인가를 생각하며 쓴 작품이다.
제2연은 망국민으로 살아온 자기의 삶을 참회하고 있다아 너무나 부끄러운 삶이었기에 길게 참회할 것도 없다고 한다. ‘파란 녹이 낀 거울’ 속의 나는 식민지 백성으로 욕된 삶을 살아가는 화자 자신이기도 하다. ‘운석(隕石)’의 원뜻은 별똥별이다. 특히, ‘운석 밑으로 홀로 걸어가는 슬픈 사람의 뒷모양’은 윤동주의 생애와도 직결된다 이 시인은 日本 에서 독립 운동가로 체포되어 2년 형을 선고받고 감옥에서 외로이 복역하다가 해방을 6개월 앞두고 옥사했다. ‘만 이십 사 년 일 개월’은 지금까지 희망도 없이 무의미하게 살아온 생애를 뜻한다. 어두운 밤 하늘에 사라지는 별을 보면서 외롭게 걸어가는 자신의 모습이 거울 속에 보인다는 것이다. 자아 반성을 통한 결의를 보여 준다. 이 말은 별이 하나 지면 누군가가 죽는다는 죽음의 의미로 읽을 수 있다아
이 시는 윤동주가 日本 에 건너가기 직전에 쓴 것인데, 이 시를 쓸 당시에 이미 스스로 앞날의 운명을 예견했다는 점에서 퍽 감동적이다.
제5연은 앞으로 자신이 살아갈 모습을 형상화한 연이다. 즉, 젊었을 때 왜 암담한 현실에 대응하지 못하고 무기력하게 자기 고백이나 하고 있었느냐고. ‘즐거운 날’은 우리 민족의 광복의 날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