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경영] 조선 초기 행정 조직의 개편과 예산 / 제2절 조선 초기 행정 조직의 개편과 예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00:14
본문
Download : 조선 초기 행정조직의 개편과 예산.hwp
충청도는 고려 공민왕 때에 양광도에 포함된 지역이었으나, 태조 4년(1395)에 개성에서 한양으로 천도하자 양광도 지역의 양주·광주에 속한 군현을 경기도로 정하고 공주·홍주에 속한 군·현을 합하여 충청도로 명칭하면서 충청도가 시작되었다. 태종이 시행한 이런 국정운영의 방향과 그 원리는 세종과 세조를 거치는 과정에 일부 개편되고 조정되어 조선왕조 운영의 기본이 되었다. 그러나 개국공신이 포진한 도평의사사의 존재는 국왕의 국정운영에 부담이 되었다. . 지방의 행정개편 가. 지방행정 조직의 개편 태조 때의 지방 행정조직은 고려 때의 것이었다. 충청도로 개칭한 후 觀察(관찰) 사는 충주에 두게 하고, 정종 원년(1399) 영월군을 강원도에 속하게 하고대신 강원도의 영춘현을 충청도로 편재했다.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제2절 조선 초기 행정조직의 개편과 예산 1. 중앙의 일반행정 개편 태조...
Download : 조선 초기 행정조직의 개편과 예산.hwp( 17 )
경제경영 조선 초기 행정 조직의 개편과 예산 / 제2절 조선 초기 행정 조직의 개편과 예산





제2절 조선 초기 행정조직의 개편과 예산 1. 중앙의 일반행정 개편 태조...
설명
[경제경영] 조선 초기 행정 조직의 개편과 예산 / 제2절 조선 초기 행정 조직의 개편과 예산
순서
다. 그리하여 이 기관의 권한을 축소하고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를 설치하여 군정(軍政)을 총괄하게 하고 도평의사사에는 정부(政務)기능만 남기었다. 그리하여 중앙관제는 고려적인 모습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이런 지방제도에 變化(변화)가 생긴 것은 태종 때부터였다. 태종은 전국을 8도로 나누고 각 도에 觀察(관찰) 사를 두었으며 그 밑에 부·대호부·목·도호부·군·현을 설치하였다. 그런 과정에서 신하의 세력을 누르기 위해 의정부 기능을 축소하고 육조 직계제를 실시하는 한편, 속아문제도를 완비하였다. 제2절 조선 초기 행정조직의 개편과 예산 . 중앙의 일반행정 개편 태조 이성계는 즉위 후 고려때부터 있었던 도평의사사(都平議使司)를 중심으로 개국공신과 더불어 국가통치를 하였다. 이방원은 왕이 된 뒤에 정도전 등의 개국공신세력을 축출하고 하륜·이숙번 등의 친위세력을 등용하여 왕권강화를 도모하였다. 왕자의 난으로 실력자가 된 이방원은 정종을 옹립한 뒤 도평의사사를 폐지하고 의정부(議政府)를 설치하였고, 중추부를 해체하고 삼군부와 승정원을 설치하여 그 기능을 흡수하였다. 또 의흥삼군부의 설치는 군권을 집중화하는 결과도 갖게 되어 정치세력의 동향과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