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문과 그의 저술활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8 15:51
본문
Download : 김대문과 그의 저술활동.hwp
김대문과그의저술활동
김대문과 그의 저술활동
1. 김대문의 생애 1
2. 김대문의 저술활동 1
1)계림잡전 1
2)화랑세기 2
3)고승전 3
4)한산기 3
5)악본 3
3. 김대문의 력사 인식 3
김대문과 그의 저술활동
1. 김대문의 생애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 한산주총관을 지낸 학자·문장가. 진골 출신의 귀족 있었다.” 고 하므로 김대문이 한산주 장관에 재임할 당시에는 총관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는 현재 우리가《삼국사기》기사를 통해서 알 수 있는 한도 내의 것뿐이며, 그의 저서를 총 5종이라고 단언할 수도 없을 것이다. 따라서 704년 김대문은 한산주총관이었다고 함이 타당하다.《삼국사기》에 의하면 704년(성덕왕 3)에 한산주도독에 임명되었다고 한다.






김대문의 생애 및 그의 저술활동에 대한 내용 입니다.김대문과그의저술활동 , 김대문과 그의 저술활동감상서평레포트 ,
,감상서평,레포트
Download : 김대문과 그의 저술활동.hwp( 13 )
레포트/감상서평
다.
2. 김대문의 저술활동
1)계림잡전
설화집.《삼국사기》에 보면, 김대문의 저술로《고승전》·《악본》·《화랑세기》·《악본》등이 있었음을 紹介(소개)하면 서도《계림잡전》에 대하여는 언급하지 않고 있따 혹은《계림잡전》은 고려시대 김부식 당시에는 전하고 있었으나, 그것은 유교적 안목에서 볼 때 일종의 하찮은 설화가 되어 김대문의 저술에서 고의로 제외했는지는 알 수 없다. ”라고 한 것으로 보아, 이《계림잡전》이《삼국사기》의 분주로 이용되면서 저술목록에는 빠진 것으로 볼 수도 있따 또 최남선의 《신라수이전》의 약해에서도 “김대문의《계림잡전》·《고승전》·《악본》·《화랑세기》·《한산기》등…(생략(省略))
설명
김대문과 그의 저술활동
순서
김대문의 생애 및 그의 저술활동에 대한 내용 입니다. 그것은《삼국사기》법흥왕 15년 조의 신라불교수용기사 중 이차돈의 순교기사 분주에 “이것은 김대문의《계림잡전》에 기록되어 있음을 쓴 것인데, 한나마 김용행이 찬술한〈아도화상비〉에 기록한 바와 아주 다르다.
《삼국사기》소전에 보이는 그의 저서는《고승전》·《화랑세기》·《악본》·《한산기》등 4종이지만, 한편《삼국사기》법흥왕본기 동 15년(528)조의 주기에는 그의 저서로《계림잡전》이 인용되어 있따 이것을 그의 저서 목록에 추가한다면 그의 저서는 모두 5종이 된다된다. 그 밖에 그가 관직경력이 있었는지 또 한산주총관이 최고관직이었는지에 마주향하여 는 알려진바 없다. 그런데《삼국사기》직관지(하) 외관 도독조에 의하면 “도독은 주의장관으로 원성왕 원년(785)에 종래 총관이라 부르던 것을 도독이라고 고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