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해결모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3 15:53
본문
Download : 문제해결모델.hwp
하지만 1930년대 후반 이와 같은 진단주의 학파의 경향에 반기를 든 새로운 기능주의 학파가 등장하였다. 또한 에릭슨의 생애 발달 과업과 역할 수행에 관한 이론(理論)을 활용하였다(김…(skip)
^^
문제해결모델
설명
다.
진단주의 학파는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사정-진단-치료하는 의료적 모델을 강조하였다.1
^^1 , 문제해결모델의약보건레포트 ,
레포트/의약보건
순서



Download : 문제해결모델.hwp( 70 )
,의약보건,레포트
Ⅰ. 이론(理論)적 배경
1. 배경
2. 등장 배경
3. 이론(理論)적 기초
Ⅱ. 문제해결모델의 concept(개념)과 특성(特性)
1. Perlman의 원리
2. 문제해결모델의 특성(特性)
3. 클라이언트의 활동능력
Ⅲ. 문제 해결 모델 단계
Ⅳ. 문제해결모델 적용 시 주의할 점
Ⅳ.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및 제한
1. 펄만의 문제해결모델
2. 모랄레스와 쉐퍼
3. Compton-Galaway
4. 즈릴라와 골드프라이드
5. 제한점
Ⅰ. 이론(理論)적 배경
1.배경
사회사업이 심리학적 경향으로 變化(변화)함으로서 전문직으로 사회적 평가와 동시에 인접학문과 실천분야와의 연예가 가능해졌는데, 그중 프로이드의 정신analysis학에 의존하는 진단주의 학파가 득세하게 되었다. 이 학파는 인간의 자아의 창조적 통합력을 인정하여 어디까지나 클라이언트에게 중심을 둠으로써 클라이언트 자아의 자기전개를 돕는 것이 사회사업의 중심과제(problem)라고 주장하였다(김융일 외, 2000).
따라서 1930년대 후반 진단주의 학파와 기능주의 학파 사이의 심각한 이론(理論)적 갈등을 경험하게 된다
이때 1959년 펄만(Perlman)이 진단주의 학파에서 진단적 사정을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의 문제해결 동기와 대처능력 그리고 자원을 사정하고 진단하는 것을 강조하는 이론(理論)과, 지금 현재 상황을 중시하는 이념, 자아의 기능에 의한 인간의 지속적인 變化(변화) 가능성을 원조함 과정으로 보는 기능주의 학파 이론(理論)을 절충시킨 문제해결 이론(理論)을 제시하면서 갈등은 종식되기 처음 하였다(Internet 강의실).
문제해결모델은 펄만(Perlman)이 개발한 하나의 개별 사업으로 1957년 시카고대학에서 처음 紹介된 이론(理論)으로, 개별사회사업의 목적은 ‘치료’가 아니라 현재의 ‘문제’ 에 대처하는 개인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정의(定義)하고 있따 즉, 현재의 위기극복을 통해 클라이언트는 future 에도 더욱 효율적으로 문제를 다루어 나가는 방법을 습득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양옥경 외, 2000).
문제해결모델은 듀이의 반성적 사고에 effect(영향) 을 많이 받았다. 반성적 사고란 인간이 외부 環境인 자신의 행위를 판단하고 결정하게 만드는 인지적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교육이나 학습은 문제 해결 과정을 습득하는 것으로 본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