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후 역사(歷史)학의 아시아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6 20:47
본문
Download : 전후 역사학의 아시아관.hwp
(패전후 일…(省略)
전후역사(歷史)학의아시아관
전후역사학의아시아관 , 전후 역사학의 아시아관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전후 역사학의 아시아관.hwp( 14 )






전후 역사(歷史)학의 아시아관
,인문사회,레포트
다. `Japan인·Japan사회의 비참함`, 즉 Japan의 아직 충분히 근대화 하지 못했다는 `후진의식`이며 그 때문에 비참한 희생을 치러야 했다는 `피해자 의식`이었다.
·1945년 history학연구회가 전문적 연구의 색차가 짙은 활동 재개, 1946년 민주주의과학자 협회도 활동 개시→`혁신`적 history학 연구 및 history교육의 운동 담당. 구성원 대다수는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주의적`인 입장의 사람들.
·강좌파 theory 의 원점은 Japan의 후진성의 극단적 강조와 유럽 근대의 선진성의 과대평가였다.
순서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1. Japan인의 아시아관
2. 전후 history학의 출발과 ‘후진 의식’ ‘피해자 의식’
3. `민족의 무제`와 아시아적 정체성론
4. `쇼와사 논쟁`과 `동아시아 history사의 재구성`
5. 아시아 인식 change(변화)의 課題와 조선사 연구의 진전
6. history 연구의 다양화와 `아시아 아이덴티티`의 모색
▲남겨진 課題
★아시아적 정체성론
★Japan인의 아시아관
★후쿠자와 유키치의 아시아관
2. 전후 history학의 출발과 `후진 의식` `피해자 의식`
·패전에 의한 근대 Japan의 좌절은 `황국사관`에 사로잡힌 Japan인에게 새로운 history의식. 아시아관을 제시하는 책무를 사회과학, 특히 history학 연구에 부과하게 되었다.
⇒이후 `아시아적 정체성론` 극복 , 유럽 근대를 기준으로 한 `후진의식`에의 반성은 history학계 공통의 문제 의식이 되어갔다. `전후 history학`은 강좌파의 문제의힉을 승계하며 성립했다.